유방 초음파 검사 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유방암 검사 방법과 유방암 검사는 언제부터 그리고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지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은 가족력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암인데요. 물론 가족력 외에도 발병할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그러나, 가족력이 있는 분이라면 늘 신경 쓰고 검사를 지속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또한 유방암은 최근 들어서 여성에게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목차
1. 유방암 검사 방법 - 유방 촬영술
2. 유방암 검사 방법 - 유방 초음파 검사
3. 유방암 검사 방법 - 유방 생체 조직 검사
4. 유방암 검사 방법 - MRI(자기 공명 영상 촬영)
5. 유방 초음파 검사 비용
6. 유방 검사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해야 할까?
초기에 진단받아야만 생명에 지장이 없는 유방 초음파 검사 비용과 유방암 진단을 위한 주요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 검사 방법 - 유방 촬영술
유방 전용 엑스레이를 사용해서 악성 종양의 유무와 조기에 유방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보통 만 30세에서 만 35세의 여성부터 유방 촬영술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만 45세 이후에는 매년 유방 촬영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여성들이 유방 촬영 검사 과정을 불편하게 생각하죠.
실제로 유방 촬영은 단 몇 분정도만 걸리기 때문에 반드시 시기에 맞게 검사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암을 조기 진단해서 생명에 위협이 가지 않기 위해서 잠깐의 불편함은 견뎌낼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유방 촬영이 번거롭다고 하는 여성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몇 분만 불편함을 참으면 됩니다.
유방암 검사 방법 - 유방 초음파 검사
오늘의 주제인 유방 초음파 검사는 유방 촬영술로 볼 수 없는 조직 변화를 초음파로 관찰하는 매우 유용한 검사법입니다. 얇은 초음파 막대를 사용해서 유방을 보는 검사인데요. 암을 찾아낼 확률이 90% 이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집니다. 유방의 치밀도나 유선 분포 정도 등에 영향받지 않아서 검사의 정확도가 유방촬영술에 비해서 더 높고, 검사를 할 때도 통증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방에 덩어리가 있을 때는 암인지 양성종양인지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것도 유방 초음파 검사의 장점입니다. 젊고 마른 여성은 치밀 유방 가능성이 높아서 맘모그램보다 초음파 검사가 좋습니다. 그러나, 유방 초음파는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는 것이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이런 이유 때문에 시술 경험이 많은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검진받는 것이 좋습니다.
유방암 검사 방법 - 유방 생체 조직 검사
유방 생체 조직 검사는 유방에 생긴 종양 일부를 분리해서 검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악성 또는 양성 종양인지 알아내는 데 목적이 있는데요. 유방 생체 조직 검사는 수술적 절제 또는 침생검으로 나눕니다. 침생검은 종양 의심 부위 일부를 천자 침으로 채취하고, 수술적 절제의 경우는 의심 부위 전체 또는 일부를 절제합니다.
유방암 검사 방법 - MRI(자기 공명 영상 촬영)
MRI(자기 공명 영상 촬영)은 강력한 자기와 전파로 유방 조직을 세밀하게 다각도로 촬영해서 다른 검사법의 단점을 보완한 검사 방법입니다. 보통 유방 촬영술과 초음파 검사를 진행한 후 더 세밀한 조직 검사가 필요할 때 MRI 촬영을 하지만 비용이 비싸고 영상 해독에 실수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MRI 촬영은 방사능 걱정 없다는 장점 또한 있습니다.
유방암을 조기에 또는 완치가 가능할 때 발견할 수 있는 검사방법은 여러 가지지만 위에서 설명했듯이 엑스레이로 유방 조직 변화를 발견하는 유방 촬영술이 가장 널리 활용됩니다. 또 만 45세 이상의 여성은 매년 유방 촬영을 실시해서 미리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유방 초음파 검사 비용
유방초음파 검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그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쌉니다. 일반병원에서는 6~10만 원 정도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고, 대학병원에서는 18~20만 원 정도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에서 양성종양이 나올 경우에는 특수 바늘로 현장에서 종양을 제거하는 시술을 할 수 도 있는데요. 이를 맘모톰이라고 합니다. 종양의 크기나 모양 등을 보고 암이 의심될 때는 맘모톰으로 조직을 바로 떼어내서 조직검사를 실시합니다.
유방 검사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해야 할까요?
30세 이상 | 매월 유방 자가 검진 |
35세 이상 | 2년 간격으로 의사에 의한 임상검진 |
40세 이상 | 1~2년 간격의 임상검진과 유방 촬영술 |
고위험군(유전력) | 유방 전문의와 상담 |
댓글